union1 미국의 노조 (Union)에 대하여 - 한국의 노조와 다른점이 있을까? *제가 작성한 글이며, 브런치에서 작성한지는 시일이 경과 되었음을 알려드립니다. 한국의 회사들도 마찬가지이겠지만 미국의 회사들도 노조와 비노조 환경으로 구분되어 있다. 사측으로 분류되는 매니저급 (대리~과장 정도의 직급) 이상이라면 노조 환경이 매우 까다롭고 번거롭다. 따라서 대기업 중에서도 노조를 가지고 있는 회사라면 채용 시 Union 환경 경험이 매우 큰 가산점으로 다가온다. 노조에 관한 전문적인 내용을 다루는 글은 쉽게 찾아볼 수 있기 때문에 내가 근무하는 산업군과 근무지인 메트로폴리탄 미술관의 노조 환경에 대해서 다루고자 한다. 아름답지만 내겐 마냥 아름답지만은 않은 곳 한국에도 자동차 노조, 금속 노조 등 산업군에 따른 분류가 있듯, 미국에서도 산업군이나 직군별 노조로 구분되는 것이 기본이다... 2020. 7. 21. 이전 1 다음